인텔에서 드디어 코어 X시리즈 프로세서와 코어 i9 라인업을 공개했습니다 코어가 엄청나게 늘어난 만큼 기존 6세대의 스카이레이크, 7세대 카비레이크를 무색하게 만드는데요 전버전에서 4K, VR컨텐츠, 3D 이펙트 렌더링 등이 추가된 고성능 프로세서 라고 하는데 실제 성능향상을 얼마나 될지는 좀더 두고 보아야 할듯 합니다

 


 

1. i9 7900x 얼마나 달라진건가

CPU-Z를 기반으로 한 자료에서 보면 싱글코어 성능은 그리 좋지 않아 보이네요 제가 지금 쓰고있는 브로드웰E 에서 3~4% 향상밖에 되질 않습니다 공정이 14nm로 개선되었단걸 감안하더라도 너무 작은 성능 향상에 속하는것 같네요

 

 

2. i9 7900X 게임성능

 

 

일단 쿨좆의 게임종합벤치 성능을 보면 i7-7700K과의 성능차이는 2프로 정도밖에 안나는군요

 

 

 

 

 

현재 VR은 중요 벤치마크 종목이 아니지만 나중에 VR관련 게임들이 생기면서 중요도가 높아질 꺼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위에 그림은 VR관련 벤치인데 아직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네요

 

 

 

3. i9 7900K 오버클럭 수율

 

cpu 램클럭이 높아질 수록 cpu 전압도 올라가야 안정화가 되는데 스카이x는 3600mhz 램클럭에서도 괜찮다는점은 멤컨자체 개선이 향상되었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타 사이트에서도 밝히고 있듯 공냉쿨러로는 아예오버클럭을 하지말라고 권유하고 있는데 문제는 발열과 소비전력 입니다

 

 

 

 물론 익스트림 라인이라서 소비전력이 높아진다는걸 감안하더라도 너무 높다는 생각이 드네요 10코어인 6950도 160w인것에 만해 7900X의 소비전력은 300W에 근접합니다 다른 사이트 분석에서는 378W를 기록했다고 하기도 하네요 물론 이건 오버클럭을 안했을시 이고 오버클럭을 하게된다면 400W를 넘는다는 측정결과가 나와있습니다

 

 

5. 스카이레이크X i9 7900X의 초기 문제점

현재 여러 사이트 자료를 통해 7900X의 문제점을 살펴봤는데 3200mhz메모리 클럭에서는 부팅조차 않되거나 여러 바이오스상 문제점도 많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초기문제들을 잘 해결해나가지 못한다면 AMD의 과거와 같은 사태를 맞을 수도 있을것 같네요 물론 현재 초기 시점이라 문제 개선이 될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지만 심각한 문제가 너무 많아서 완벽하게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듯 합니다 전체적으로 전세대 대비 성능향상이 얼마 없고 오히려 AMD 라이젠보다 뒤쳐진 결과도 나오고 있습니다 발열문제도 이제 더이상 AMD만의 문제가 아닌거 같아서 앞으로 인텔도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더 많아진 느낌은 지울 수가 없네요

 

처음 샀을때만해도 멀쩡했던 컴퓨터가 어느순간부터 느려졌다면 한번씩 정리를 해줘야합니다 프로그램들을 너무 많이 깔리면서 시작프로그램과 레지스트들이 많아져서 점점 버벅이게 되죠 이러한 문제를 단순해 해결하기위해서 프리웨어를 통하여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무료프로그램이라 쉽게 구할 수 있고 네이버에 고클린이라고 치기만 해도 바로 나오네요

 

 

 

프리웨어 고클린

▲위와 같이 네이버에 고클린 치면 바로 나옵니다

  

 

 

▲고클린을 실행화면

 

고클린 실행하시면 다양한 아이콘들이 있는데요 컴퓨터 점검을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주로 관리 해줘야 되는부분은 위 그림에서 네모박스 쳐져 있는 부분입니다

 

 

 

 

시작프로그램이 많을 경우 컴퓨터를 처음 켰을때 구동이 많이 느려지게되죠 필요없는건 삭제 하도록 하는것이 좋겠죠?

 

 

 

 

다음으로 하드디스크의 찌꺼기를 제거하기위해 모두 선택해주고 삭제를 누릅니다 필요없는 파일을 알아서 찾아주니까 너무 좋은거 같네요

 

 

 

 

다음으로 액티브X 삭제인데요 이 파일들은 악성코드나 해킹 경로로 악용될 수 있으니 제거해주는 것이 좋을 듯 하네요 인터넷 속도를 높이고 용량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박스를 체크해서 삭제해 주시면됩니다

 

 

 

 

 

마지막으로 윈도우 프로세스 초기화 인데요 인터넷이 느려지거나 버벅일때 프로세스를 초기화해서 쓸데없는 작업을 꺼주도록 합니다 주기적으로 해주면 컴퓨터 속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거 같네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매우 무덥군요 오늘은 간단하게 컴퓨터 사양보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를 잘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모든 컴퓨터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부품으로 CPU, 램, 메인보드,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 파워 등등이 있죠 그래서 사양을 체크하는 것도 CPU와 램,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사양을 체크해주는 것입니다 

 

 

1. CPU와 램 사양 확인


 

▲바탕화면 컴퓨터 아이콘을 오늘쪽으로 클릭해서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여기서 CPU 정보와 운영체제 그리고 메모리용량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i7-5820K 에 기본 클럭 3.3으로 나오네요 메모리는 16GB입니다)

 

 

 

 

 

2. 그래픽카드 사양 확인

 

 

윈도우 7혹은 10인분들 모두 작업표시줄에 시작 버튼을 누르시고 실행을 검색하여 들어가줍니다

 

 

 

 

▲위 그림과 같이 검색창이 뜨면 dxdiag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확인을 누른뒤에 시작이 조금 지나면서 창이 하나 뜰겁니다 조금 늦게 뜨시는분들도 많은데 기다리시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옵니다

 

 

DirectX진단 도구 창이라고 나오는데 여기서도 CPU와 램정보를 알수있죠 그래픽카드 정보를 보려면 디스플레이1탭으로 들어가줍니다

 

 

 

 

드디어 나왔네요 제가 쓰는 그래픽카드 라데온 R9 390입니다 현재 디스플레이 해상도랑 주파수도 알수 있네요

 

 

 

3. 하드디스크 전체 용량 확인

내 컴퓨터 용량을 확인하는방법은 기본적으로 내컴퓨터를 보시면 아시죠 하지만 지금 깔려있는 운영체제 안의 용량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용량을 확인하고 싶을때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내컴퓨터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로 들어가줍니다

 

 

 

컴퓨터 관리창에서 디스크 관리를 클릭해주면 내컴퓨터에서 쓰는 전체 하드디스크 들이 전부 나오게 됩니다 보통 기본적으로 지금 쓰고있는 운영체제 용량은 C드라이브로 잡히게 되고 나머지들은 모두 저장 디스크 들입니다 혹시나 내컴퓨터로 봐서 잡히지 않았던 디스크 정보들이 있을 수 있으니 여기서 한번쯤 꼭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을거 같네요 

'IT정보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롤 렉 없애는 방법  (0) 2017.08.02
컴퓨터 느려졌을때 최적화 하는 방법  (0) 2017.07.27
컴퓨터 조립 및 성능 리뷰  (0) 2017.04.20
미래 첨단기술  (0) 2017.04.18
사라지는 일자리 탐구  (0) 2017.04.16

전에 타이탄X가 출시가 됬을때만해도 모두를 놀라게 했지만 1080Ti출시 역시 모두에게 눈을 땔 수 없게 만들었네요 본격적으로 4K구현 게임을 원하는 게이머들은 반드시 필요로 하는 그래픽 카드가 탄생했고 가격안정화 까지 갖춘 이 그래픽 카드는 암드를 더욱 암울하게 만드는것 같습니다 지포스의 종착지라고 불리우는 GTX1080Ti는 타이탄 X보다 가격이 크게 떨어졌으며 성능적 측면에서도 모든 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게이머의 입장에서는 입맛을 다실 수 밖에 없게 하는 조건이죠 자 그럼 이제 GTX1080Ti를 더 자세히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지포스 GTX1080Ti 분석


타이탄X와 비교해보면 두모델 모두 GP102프로세서를 기반으로하지만 GTX1080Ti가 출력유닛을 96에서 88로 바꿨지만 더 높은 GPU와 메모리 클럭속도를 통해 낮은 가격 안정화에 성공하였습니다 게이머에게 타이탄X는 부담스러운 가격이였지만 지금 GTX1080Ti의 가격 수준은 성능에 비해서 훨씬 좋은 수준으로 평가 받고 있는 것이죠

GTX1080에 비해 약 200달러 비싼 GTX1080Ti는 1000개의 CUDA 코어, 24개의 ROP, 그리고 40% 증가한 텍스처 유닛을 가지고 있습니다 GTX1080을 사용하고 있던 소비자의 입장에서 보면 1년도 채안되서 등장한 1080Ti를 보며 배 아파할 수도 있을거 같네요 물론 전버젼 980Ti와의 비교는 비교 자체가 넌센스일 정도로 성능이 어마어마하며 980Ti의 비교는 사실상 1070과 비교를 해야 할 정도입니다 GTX1080Ti 단자를 살펴보면 8+6핀 전원 단자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좀더 안정된 전원공급을 위해 8핀이였던 1080에서 6핀이 증가된거 같네요 (GTX1080은 500W, GTX1080Ti는 600W)

 
좌우로 분리되어있는 백플레이트는 1080과 동일하지만 디스플레이 단자는 기존 DVI단자가 빠진걸 볼 수 있습니다 동일한 쿨러 디자인에 더 좋은 쿨링 효과를 위해 DVI단자를 제거 한듯 보이네요 외형적인 측면에서는 980Ti, 1080, 1080Ti 셋다 로고 빼고는 큰차이는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벤치마크 성능을 보면 DDR4 2400MHz 에서 병목현상이 생겨 성능이 생각보다 나오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메모리 대역폭을 더 끌어올려 실험하였더니 다시 성능이 확연하게 향상이 됬네요 제대로된 성능 향상을 얻기위해서는 적절한 클럭 값을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발열량을 살펴보면 쿨링시스템은 GTX1080과 크게 달라진점은 없지만 DVI단자 제거를 통해 원활한 배기 순환이 가능해 졌고 쿨링 회전수를 조금 높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회전수가 빨라지면 소음이 조금 더 증가하겠지만 성능이 그만큼 좋아졌기때문에 참을 수 있는 수준으로 보이네요



 

 전력소비량을 살펴보면 GTX1080보다 약90W정도 증가한걸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 오버클럭까지 한다면 약 35W가 추가될 수 있겠네요 이상으로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IT정보 > 그래픽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카드 온도 낮추기 방법  (0) 2017.09.23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프로그램 다운로드  (0) 2017.09.22
그래픽카드 고르는법 나에게 맞는 가성비 추천 제품  (0) 2017.08.16
GTX1060 GTX1070 GTX1080 추천 사양  (0) 2017.07.30
RX470에서 RX580으로 변신이 가능하다  (0) 2017.07.25

하~ 무더운 여름이네요
제가 컴퓨터를 많이 하다보니
컴퓨터도 더워서 소리를 지르고 있네요
이미 다 아시는 분들 많이 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열받을만한 소식 하나를 가져왔습니다 허허허

 

바로 라데온 그래픽카드 RX470이 RX580으로 변신이 가능하다는 사실 두둥~!

 

물론 당연히 RX580을 바로 구매 하셨던 분들에게는 좋은 소식은 아닐겁니다
하지만 아직 사시지 않으셨거나 구매 의향이 있으신 분들에게는 귀가 솔깃할거 같네요
뭐 저도 지금 R9 390을 R9 390X로 변신해서 쓰고 있는 입장이라
어느정도 이해할만 하긴 하면서도
역시 암드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 내용은 TechPowerUP이라는 해외 사이트에서 이미 나왔던 내용이고요
국내의 벤치사에서도 소개했던 겁니다
국내에서 하신분은 직접 RX470을 RX480으로 다시 RX580으로 변신 성공하셨다고 합니다

 

뭐 기본적인 변신 방법은 그래픽카드의 바이오스를
새롭게 입혀준다는 것은 모두 다 아실겁니다

 

 

-사진자료(출처 Videocarkz.com)

 

 

GPU 성능값 인증입니다.

RX480에서 RX580로 변신한 것이죠

아래는 RX580 성능입니다아아




 

물론 변신을 할때에는 바이오스가 똑같이 되기때문에

성능까지 똑같이 바뀌게 됩니다

이게 어떻게 보면 오버 한거랑 비슷하기 때문에

전력상의 문제 또는 쿨러의 문제 RX480의 기판문제 등등등

하드웨어적인 문제는 어쩔 수 없는 거 같네요

 

성능 향상은 생각 보다 별로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제가 390에서 390X로 변신 했을때 느꼈던거지만

제나름대로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게임을 할때 거의 10프레임 정도 차이가 났었거든요

물론 하는 게임마다 틀릴 테지만 말이죠

 

해외가격과 국내 가격 차이가 커서 사랑을 많이 받지 못했던

RX480이었음에도 앞으로는 가격경쟁력에서라도

밀리지 않았으면 하는 작은 바램이 있네요

 

 

후..너무 더운 여름이네요

이만 마치겠습니다

 

'IT정보 > 그래픽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카드 온도 낮추기 방법  (0) 2017.09.23
그래픽카드 온도측정 프로그램 다운로드  (0) 2017.09.22
그래픽카드 고르는법 나에게 맞는 가성비 추천 제품  (0) 2017.08.16
GTX1060 GTX1070 GTX1080 추천 사양  (0) 2017.07.30
GTX1080Ti 성능 분석  (0) 2017.07.26
1···56575859606162···64

+ Recent posts